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 활용한 품질 평가 박차 … ‘한국형 돼지 품질 평가 장비 설치’ 도축장 선정
  • 연구개발처
  • 2025-03-11
  • 88

 

 

축산물품질평가원, 인공지능 활용한 품질 평가 박차 … 

한국형 돼지 품질 평가 장비 설치도축장 선정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10한국형 돼지 품질 평가 장비 설치 도축장 선정공고를 통해 최종 선정된 도축장 2개소를 발표했다. 이번 선정을 통해 총 3개 도축장에 한국형 돼지 품질 평가 장비가 설치되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돼지 품질 평가에 더욱 박차가 가해질 예정이다.

 

 ‘한국형 돼지 품질 평가 장비는 자동화 촬영 장비를 통해 돼지 도체 이미지를 촬영한 후, 인공지능(AI) 품질 분석 프로그램에 따라 등급을 판정하고 대분할 부위 정육량과 삼겹살 내 지방량을 예측한다. 특히 관제센터가 종합적인 기계 운용 현황을 통제해 원격지에서도 실시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2016년부터 국내 12개 도축장에 수입산 돼지 품질 평가 장비를 도입했다. 하지만, 우리나라 양돈산업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고 지속적인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어 지난해부터 한국형 돼지 품질 평가 장비를 부경축산물공판장 1개 도축라인에 설치 후 시험 운영 중이다.

 

 이번 도축장 선정은 2025211일부터 20일까지 온라인 접수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업계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의 서면·현장 평가를 거쳐 2개소가 선정되었다.

 

 최종 선정된 도축장은 도드람김제에프엠씨(전북 김제) ()민속엘피씨(대구광역시)로 선정 결과는 축산물품질평가원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축산물품질평가원 누리집: www.ekape.or.kr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국내 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돼지 품질 평가 장비 설치 확대로 양돈산업 전반에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확산시키고, 농가의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돼지 품질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도를 높이겠다.”라고 전했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본원 전경]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