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축산유통·소비트렌드 급변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축산유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축산유통분야 전문인력을 양성을 위해 농업분야 및 타 품목과 차별화된 축산유통분야 전문교육을 제공합니다.
추진근거
- 「축산물 유통의 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가칭)」 제18조(축산물 유통 관련 전문인력의 육성)에 따른 축산유통교육 운영 준비
- (시범교육) 축산물 유통구조 등 4개 과정(4회, '23.11.10.~12.1.)
추진경과
교재제작
2023 축산유통의 이해(총론), 축산 유통·마케팅(실무)
시범교육
축산물 유통구조 등 4개 과정(4회, '23. 11.10.∼12. 1.)
(대상) 내부직원, 축산 관련 대학(원)생, 축산유통 종사자 등 202명
외부 교육운영
구분 | 4.18. ~ 4.19. | 5.8. ~ 5.10. | 7.2. ~ 7.3. |
---|---|---|---|
과정명 | 축산상품 마케팅 전략 | 축산유통의 이해 | 축산 유통 채널 입점 전략 |
장소 | aT농식품유통교육원 | 농식품공무원교육원 | aT농식품유통교육원 |
교육대상자 | 축산·유통 종사자 (18명) | 지자체 공무원(8명), 내부직원(7명) |
축산·유통 종사자 (16명) |
대학연계
축산유통 교육과정 정규화(연암대_축산물 유통론) 및 6개 대학* ‘축산유통의 이해’ 기존교과목과 연계 활용
공주대·부산대·경상대·순천대·제주대·전북대
축산유통교육 자료
자료 경로: 축산유통 온라인교육관리시스템(ekape.kacnet.co.kr/site2/main) → 회원가입 → 관리자 승인 → 일반자료실(유통교재 및 교육자료)
주요내용
-
축산·유통 종사자 외부교육 운영 (10.31.∼11.1.)
- 과정명 : 축산상품 SNS 마케팅 전략
- 장소 : aT농식품유통교육원(수원)
- 정원 : 20명
-
경기마스터 대학 교육 개설 및 운영 (9.22∼11.21.)
- 대상 : 한우반 25명
- 강사 : 유통혁신본부장 등 내·외부 총 7명
- 내용 : 축산물 등급·이력· 유통 및 주요사업 소개(11주)
-
대학 연계 축산유통 교육과정 정규 계획
축산유통 교육기초 교재 배포를 통한 기존 교과목 연계·활용 및 정규화·학점 부여 등의 자체활용 방안 마련
-
온라인 축산유통 교육기반 구축
- 내용 : 축산유통 교안(PPT, 외부자료 등), 교육신청·접수, 영상학습 등
- 경로 : 유통정보홈페이지(ekapepia.com) → 정보자료실 → 축산유통교육
-
축산유통 교육 전문성 강화를 위한 PPT 교안 마련
우리원 ‘등급·이력·유통정보’ 교육용 교안 제작 및 배포(축산유통 온라인시스템 탑재 예정)
- 교육체계 정립을 위한 시행지침·세부실시 요령 등 마련
-
대학생 축산유통 경진대회(6.10.∼8.9.)
- (품질평가 부문) 기관 주요 사업 이론평가(40%)+품질평가 실기(60%)
- (유통기획 부문) 축산유통 기획 부문 제안서 제출(1차) 및 발표평가(2차)
-
축산유통포럼 운영(12.2.)
- (세션1) ‘25년 축산유통 부문별(소비·생산·유통) 주요 트렌드 키워드 발표
- (세션2) ’축산물 소비의 현재와 미래‘ 주제 발표
- (세션3) ’25년 달라지는 축산유통 주요 정책 발표
- (패널토론) 발표 주제에 대한 질의·답변(유튜브 쌍방향 소통)
관련 화보



담당부서
제도산업지원처
044-410-7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