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그린바이오산업 육성 전략(농식품부, ‘23년)」 6대 분야에 곤충을 포함, 산업화 지원 및 유통 활성화를 위해 곤충산업을 新 축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목적
곤충산업 국민 인식도 제고 및 유통활성화를 위한 판로지원 확대와 곤충가치 대국민 홍보 강화로 소비 촉진을 유도합니다.
추진경과
현행 축산법은 곤충을 가축의 대상으로 포함함에 따라 ‘곤충유통 활성화(홍보)’ 업무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우리원에 위탁('23.12.20.)
추진체계
-
농림축산식품부
- 홍보사업 총괄
-
- 세부추진계획 수립·추진
- 홍보협의회 주관·운영
-
곤충협회
- 홍보사업 자문
- 기념행사 협조
-
곤충기업
- 홍보사업 자문
- 제품홍보 협조
-
전문가
- 홍보사업 자문
- 곤충연구 협조
-
소비자
- 홍보사업 자문
- 소비행사 협조
전국 판매액(’22): 꽃무지 112.9억원, 동애등에 112.8, 갈색거저리 49 등
국내 곤충산업 현황
- 가축등록 : 아메리카동애등에 포함 축산법 고시 개정(‘23.9.5.), 곤충 16종 등록
- 사육환경 : 대부분 영세한 농가로 불균일한 품질, 소규모 농가에서 생산-가공-유통 담당
- 시스템 : 표준화된 사육시설 및 관리 시스템 부재, 시장개척에 어려움(대부분 직판)
- 해외시장 : 곤충시장(‘19년 8억 달러 → ‘24년 21), 유럽, 북미 중심으로 투자 증가, 생산시설의 대형화, 자동화 및 곤충첨가 반려동물 시장 증가추세 등
곤충유통 활성화 주요내용
- 온라인 홍보 : 언론, SNS, 블로그, 유튜브 등 온라인 콘텐츠 활용한 온라인 홍보
- 오프라인 홍보 : 법정기념일(양잠인의 날 5.10., 곤충의 날 9.7.), 농업박람회 홍보부스 운영, 곤충산업 심포지엄, 미디어 홍보 추진(제도산업지원처·고객소통처)
- 국민참여 홍보 : 공모전 등 국민(소비자) 참여형 곤충의 가치홍보 및 소비촉진 캠페인
- 기타 : 국민 인식도 조사 및 사업 개편방안 연구 용역, 홍보협의회 운영 등
담당부서
제도산업지원처
044-410-7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