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축산물이력제란?
  • 축산물이력제도는 가축의 출생부터 도축·포장처리·판매까지 정보를 기록·관리하여 위생·안전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이력을 추적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 원산지 허위표시나 둔갑 판매를 방지하고, 소비자는 판매되는 축산물의 정보를 알 수 있어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습니다.

관련법령

법률, 주요내용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법률 주요내용
가축 및 축산물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2조(권한의 위임·위탁)
  1. 농장식별번호 관리
  2. 신고접수·처리
  3. 유전자 분석
  4. 이력시스템 운영 등
고시 (농림축산식품부) 축산물 이력관리 조사 요령

조사, 시료채취, 유전자분석, 위반사항 조치 등

제도효과

축산물이력제의 효과 : [위생과 안전의 파수꾼] 질병 및 위생·안전에 문제 발생 시, 이력을 추적하고 회수·폐기하는 등 신속하게 조치 → 구제역 백신접종, 브루셀라 검사, BSE 관련 이력추적 / [소비자에게 정보 제공] 원산지, 농장 경영자, 가축의 종류, 등급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수입산과 차별화하고 유통의 투명성 제고 / [축산업 경쟁력 강화] 이력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각종 축산관련 정책사업에 활용 → 가축개량, 축산물 수급 예측, 가축동향조사 대체 활용

축산유통 통계누리

축산물 이력제 사업을 통해 수집된 소의 사육, 출생, 이동, 도축 등의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하여 가축 개량과 축산물 수급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축산유통 통계누리 시스템을 통해 약 45종의 통계 데이터와 시각화 자료를 지원합니다.

축산유통 통계누리 캡쳐화면 01
축산유통 통계누리 캡처화면 02

축산물이력정보 확인하기

스마트폰(모바일) 또는 PC로 편리하게 축산물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모바일)으로 확인하기
[STEP 1] 스마트폰에서 축산물 이력정보 앱 설치 → [STEP 2] 축산물 이력번호 또는 묶음번호를 입력 → [STEP 3] 축산물 이력정보 확인
맨 위로